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17 국감]시대에 뒤떨어지는 전통시장, 카드단말기 설치 61.8% 불과
-신용카드도 안되고, 주차시설도 없는 전통시장 아직도 상당수
-쇼핑의 필수 서비스인 교환, 환불도 언감생심

[헤럴드경제=최정호 기자]소비자들의 불편과 불만에도 불구하고 대형 마트의 주말 영업을 금지시켰지만 여전히 후퇴하고 있는 전통시장의 부진은 다름아닌 시대에 뒤떨어지는 환경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그동안 2조5000억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 전통시장 상거래 현대화 및 편의시설 확충에 나섰지만, 상당수 소비자들은 여전히 불편함을 느낄 수 밖에 없었다. 


송기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6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통시장 내 신용카드 단말기 설치 비중은 61.8%에 불과했다. 20여년 전부터 보편화된 신용카드지만, 재래시장에서는 여전히 쓸 수 없는 곳이 절반 가까이 된다는 의미다.

또 고객 주차장 구비율은 59.7%, 물품 교환 가능 업체 수도 63.2%, 환불 업체는 52.5%, 택배서비스 35.1% 등으로 대형마트에 비해 서비스가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용카드 단말기 보유 비중은 경기 84.4%, 대전 83.3%, 강원 77.2% 순으로 높았다. 반면 전남의 경우 신용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전통시장 점포는 29.6%에 불과했고, 제주 39.6%, 경북 46%도 그 비중이 낮았다.

주차장 구비는 세종 100%, 전북 88.3%, 전남 87% 순으로 높았다. 반면 약령시 등 상대적으로 전통시장이 많은 대구는 전통시장의 33.9%만이 주차장을 보유하고 있었다. 울산 37.5%, 서울 41.7%도 매우 저조했다.

쇼핑의 필수인 상품 교환과 환불의 경우 제주도 전통 시장 내 점포 중 84.8%가 교환, 74%가 환불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남의 경우 교환 43.2%, 환불은 점포의 34.7%만 가능했다. 


전통시장 점포 중 택배서비스가 가능한 점포는 35.1%에 불과했다. 서울 62.9%, 인천 51.9%의 점포가 가능하지만 이를 제외한 지자체들의 택배서비스는 모두 40%를 넘지 못했다.

홈페이지가 있는 곳은 전체의 13%에 불과하며, 모바일 앱이 마련되어 있는 시장은 2.9%에 불과했다. 인터넷 쇼핑이 보편화되고 있는 시대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유아놀이방은 전체 전통시장 중 6%, 수유시설 6.2%, 종합콜센터 6.9%, 고객휴게실 17.7% 만이 구비되어 있다.

송기헌 의원은 “2002년부터 2015년까지 정부는 노후화된 전통시장 재정비와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 약 2조5000억 원의 국가 예산을 투입해왔지만, 전통시장의 상거래 현대화와 편의시설 구비 수준이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아케이드 설치 등 환경 개선 뿐 아니라, 서비스 개선과 상품 개발, 편의시설 확충 등에 집중 지원해 대형마트와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