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산업·IT·과학 > 자동차 · 부품 · 타이어

자동차 ‘리콜’ 홍수… 소비자 불안도 가중

입력 2017-04-11 17:04 | 신문게재 2017-04-12 1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자동차 ‘리콜(Recall)’이 급증하면서 소비자들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자동차 메이커들이 최대한 리콜 항목과 비용을 줄이기 위한 ‘늑장리콜’에 급급해 소비자들의 피로감을 높이고 있는 것이다.

1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자동차 리콜 물량이 53만 6059대로 지난해 연간 리콜 물량인 62만 4798대의 85%를 차지하면서 역대 최대 리콜을 기록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정부가 리콜제도를 시행한 2003년부터 리콜 물량은 꾸준히 늘어 2013년 103만 7151대에 이어 2015년 103만 2906대로 연간 100만대를 웃돌고 있다. 국내 완성차는 2013년 98만 1298대로 최대 리콜 기록을 수립한 바 있고, 상대적으로 고가의 안전성을 이미지를 갖고 있는 수입차 역시 2015년부터 연 평균 20만대 이상으로 리콜 규모가 늘어 사태가 악화일로다. 업체별 대량 리콜이 이뤄진 경우로는 2013년 현대·기아차가 브레이크 스위치 결함으로 가장 많은 82만 5000대를 리콜했고 르노삼성이 엔진마운트 이상으로 39만 2000대(2015년)를 대상으로 리콜을 실시했다.

리콜 물량 확대에 따른 소비자의 불안과 불만도 심각하다. 전장제품에서 엔진에 이르기까지 리콜 원인이 다양화되면서 주행중 멈춤과 같은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리콜이 진행되더라도 장시간 대기를 하거나 리콜 항목과 비용을 줄이려는 ‘늑장·꼼수 리콜’, ‘조건부 리콜’ 등의 사각지대도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리콜은 자동차 업체 스스로 무상 점검을 실시하는 자발적 리콜 방식으로 진행한다. 대다수 수입사와 국내 완성차 업체가 리콜을 완료하는 데까지 1~2년 이상 걸리는 ‘늑장·꼼수’를 부리다 보니 리콜을 제대로 받기까지 오랜 기간 혼자 업체와 다퉈야 하는 소비자들의 피해가 상당하다. 리콜이 실시되더라도 최소한의 수리나 교체만 이뤄져 ‘잠재적 사고’가 발생할 것이라는 불안감을 안고 사는 소비자들도 적지 않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리콜 물량이 늘어난다고 해서 단순히 ‘소비자 권리가 더 높아졌다’는 평가를 하는 것은 곤란하다”며 “차량 결함을 호소하는 소비자는 애가 타는데 자발적 리콜이나 조건부 리콜로 되레 소비자를 우롱하는 업체들의 꼼수를 차단하기 위해 좀더 체계적이고, 강력한 리콜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재훈 기자 yes@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