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4차혁명 선도분야부터 정해야"

나현준 기자
입력 : 
2017-02-07 17:39:28
수정 : 
2017-02-07 20:17:14

글자크기 설정

정부 주도보다 AI·IoT 생태계 조성 시급
전문가들은 맞춤형 주문생산을 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스마트공장 보급 정책보다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기반기술을 축적하는 '생태계 조성'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모든 분야가 다 4차 산업혁명이 필요한 것은 아니라며 '선도 분야'부터 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7일 김인숙 한국개발연구원(KDI) 초빙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그때그때 달라지는 고객의 주문을 반영하는 '임의적 네트워킹'(adhoc-networking)"이라며 "이 같은 네트워킹 기술을 통해 기계 전자 IT 등 각 분야의 설비가 융합하는 것이 스마트팩토리"라고 밝혔다. 그동안 공장은 중앙집권식 통제 방식으로 운영돼 왔다. 개발자가 제품을 설계하면 부품인 공장 설비가 설계도에 따라 일사불란하게 움직인다. 현재 국내 스마트공장에 도입되고 있는 생산관리시스템(MES) 등 ICT 프로그램은 이 같은 중앙통제식 자동화의 대표적 예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은 단순한 자동화가 아니다. 가령 자동차 조립의 경우 자동차 원형골격(A)과 공장 기계설비들 각각에 AI가 탑재된다. 고객의 주문이 A에 입력되면 A는 자율적으로 각 기계 설비들을 찾아다니며 고객이 원하는 형태로 골격을 갖춘다. 자재(A)와 기계설비가 IoT를 통해 서로 소통하며 '맞춤형 주문'이 이뤄지는 것이다. 자율적 판단(AI)과 소통(IoT) 그리고 이를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보안기술 등이 필요한 이유다.

문제는 정부가 올해 투자하기로 한 991억원이 컨트롤러(610억원), 센서(138억원) 등 하드웨어에 치중돼 있다는 점이다. 이들 부품은 IoT 등 네트워크 기술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데 꼭 필요하지만 AI, IoT 등 선도 기술과 비교해 볼 때 공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기에는 다소 미흡하다. 정부는 솔루션 등에 109억원을 투입하는 등 소프트웨어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지만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아울러 어떤 분야를 4차 산업혁명 대상으로 할지에 대한 사회적 고민도 필요하다.

현대사회에서도 1차 산업(농업)이 필요하듯이 전 분야가 모두 4차 산업혁명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맞춤형 주문생산이란 말 그대로 고객의 주문(수요)이 있어야 한다. 시장에 대한 이해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이라는 의미다. 김은 ICT융합네트워크 부회장은 "개인 맞춤형 제품 생산과 기존의 가내수공업 대량생산 등을 어떻게 조합할지 논해야 한다"고 밝혔다.

[나현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